반응형
전기차를 출고한 지 5~8년쯤 지나면 어느 순간 배터리 보증기간 만료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. 배터리, 구동모터, 인버터 등 핵심 부품의 무상보증이 끝나는 시점이 되면 이제부터는 모든 고장이 내 책임이 됩니다. 수리비는 얼마나 들고, 보험은 어디까지 보장해줄까요? 지금부터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.
📅 전기차 보증기간 기준
부품 | 보증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
배터리 | 8년 또는 160,000km | 대부분 제조사 동일 |
구동모터 | 5년 또는 100,000km | 기아, 현대 기준 |
인버터, 전장부품 | 3~5년 | 차종에 따라 상이 |
보증이 끝나는 시점부터는 배터리 이상, 모터 고장, 센서 불량 등도 유상 수리가 됩니다. 이때부터 보험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시기입니다.
⚠ 보증만료 후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
- 🔋 배터리 셀 불량 → 교체비용 700만 원~1,200만 원
- ⚙ 구동모터 이상 → 모듈 교체 250~350만 원
- 📡 센서·인버터 오류 → 진단비 + 부품가 150~400만 원
- 🧾 정비소 제한 → 플랫베드 견인 필요 + 공임 고가
🚗 실제 사례: EV6 8년차 배터리 셀 고장
- 차량: 기아 EV6 (8년차, 보증 만료)
- 상황: 주행 중 출력 급감, 배터리 셀 이상 감지
- 진단 결과: 배터리 팩 교체 필요
- 수리비: 총 1,180만 원 (부품가 970 + 공임 210)
- 보상 여부: 자차담보 미가입 → 보험 보장 불가
✅ 보험으로 커버 가능한 경우
- 📌 자차담보 + EV 특약 가입 시 → 사고(충돌/침수 등)로 인한 배터리 손상
- 📌 사고로 인한 센서·인버터 교체 → 일부 보장
- 📌 충전 중 감전·화재 → 특약 포함 시 가능
❌ 보험으로 보장 안 되는 경우
- ❌ 제조 결함 및 리콜 대상 → 제조사 책임
- ❌ 자연 고장 (노후, 잔존 수명 저하) → 보험 제외
- ❌ 점검 누락, 사용자 과실 → 면책 사유
🧠 전기차 보증만료 대비 보험 전략
- ✔ 자차담보 + 전기차 특약 포함 여부 확인
- ✔ EV 전용 수리소 이용 시 혜택 제공 여부 확인
- ✔ 정기 점검 및 배터리 상태 점검 리포트 확보
- ✔ 보험사에 배터리 보장 범위 사전 확인 요청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📌 요약 정리
전기차 보증기간이 끝난 이후에는 모든 수리비가 유상 처리되며, 배터리, 모터, 센서 등 고장 시 수백~수천만 원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자차담보와 EV 특약이 없다면 보험으로도 커버되지 않습니다. 보증만료 전 보험을 재정비하고, 사고 이외의 노후 고장에 대한 A/S 연장 또는 제조사 프로그램도 함께 고려해보세요.
※ 본 글은 전기차 보증기간 만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수리비 및 보험 보장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정보성 콘텐츠입니다.
보장 여부는 보험사 약관, 사고 원인, 계약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해당 보험사 또는 공인 설계사를 통해 사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생활속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💸 전기차 수리비 평균 300만 원?! 보장 못 받는 항목 따로 있습니다 (0) | 2025.06.27 |
---|---|
⚠️ 전기차 견인비 폭탄 맞았다고요? 이 특약 넣으면 전액 지원됩니다! (0) | 2025.06.26 |
🚘 전기차 출고 전 반드시 들어야 할 보험 3가지, 안 하면 후회합니다 (0) | 2025.06.26 |
🚨 전기차 충돌 사고 후 감가상각? 보험금 삭감 사유 총정리! (0) | 2025.06.26 |
🔥 전기차 충전 중 화재, 사례별 보상범위 총정리 (0) | 2025.06.25 |